양중기의 방호장치(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승강기)
양중기에 해당하는 종류는 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승강기 등이 있다. 이러한 중량물을 취급하거나 운반하는 기계, 장치에는 방호장치의 설치가 필요하다. 양중기의 종류에 해당하는 장치들의 방호장치에 대해서 알아보고,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방호장치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크레인의 방호장치 과부하방지장치 권과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제동장치 그 외에 추가 설치시 훅의 해지장치, 유압식 안전밸브 등 이동식 크레인의 방호장치 과부하방지장치 권과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제동장치 그 외에 추가설치시 훅의 해지장치, 유압식 안전밸브 등 리프트의 방호장치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제외) 과부하방지장치 권과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제동장치 조작반 잠금장치 곤돌라의 방호장치 과부하방지장치 권과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제동장치 ..
2023. 4. 22.
재해의 발생원인과 상해의 정도 (기인물, 가해물, 4M 정의)
재해는 다양한 원인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하게 된다. 산업안전에서는 재해의 발생을 억제하고 예방하기 위해 재해의 원인을 파악하고 조치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실무에서 이를 구분하여 정의하기가 어려운 경우도 많다. 오늘은 재해의 발생원인이 되는 것과 상해의 정도를 어떻게 구분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기인물과 가해물의 정의 재해나 상해를 일으키는 요인은 분명하게 존재한다. 이를 기인물, 가해물이라고 한다 기인물 직접적으로 재해를 유발하거나 영향을 끼친 에너지원(운동, 위치, 열, 전기 등)을 지닌 기계, 장치, 구조물, 물체, 물질, 사람 또는 환경을 말한다 2차 기인물 복합적 요인으로 발생한 재해의 경우 기인물을 유발했거나, 가속시켰거나, 재해 또는 특정물질에 노출을 유도한 것으로 간접적 영향을 ..
2023. 4. 17.